중국 성장세 둔화는 한국 경제에 큰 부담이다.
국고 지원이 안 되는 이유는.교통복지 차원에서 처음 도입했지만.
오세훈 서울시장의 이야기를 들어봤다.여기에 각종 경로우대 정책과 지자체가 제공하는 여러 혜택을 포함하면 재정 부담은 훨씬 커진다.이 비용은 결국 서울시민이 내게 된다.
지난해 6월 한국리서치 등의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2%는 만 70세는 돼야 노인이라고 답했다.주민 세금으로 손실을 메우는 것은 불합리하다.
조 교수는 이들이 고교에 입학한 1974년부터 평준화 제도가 시작되는 등 한국사회의 주요 변곡점마다 화두로 등장했다고 설명했다.
무임승차 제도 도입(1984년) 직전인 1981년 경로우대법 제정 당시 만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의 3%대에 불과했다.인구 구조로 보면 향후 10년간 세계 주요 15개국 중 절반의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드는 가운데 미국은 5% 증가하고 중국은 9% 감소할 전망이다.
‘포스트 차이나 인도와 지난해 한국의 최대 무역 흑자국으로 떠오른 베트남을 위시한 아세안 그리고 중동 등으로 대외 통상과 투자의 다변화를 통한 경제 영토 확장에 더 속도를 높여야 할 시점이다.경제는 중국에 의존) 이분법적 전략이 통하지 않는 현 상황에서 더욱 그렇다.
게다가 2030년 중위연령(총인구를 연령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간 사람의 연령) 예상도 중국 42세에 비해 인도는 31세로 열 살 이상 젊어 ‘인구 보너스가 본격화하고 미국(40세)과 한국(50세)보다 유리해질 것이다.3년 전 터진 코로나 사태가 국제질서 재편의 게임체인저가 되리라는 예측이 실현될 조짐이다.